이재명 공약 현실화? 민생지원금 25만원+ @ 곧 지급 시작
정부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을 타개하기 위한 강력한 지원책으로 전 국민에게 15만 원의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입니다. 특히 이번 지원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될 예정으로,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최대 50만 원,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정에는 40만 원이 지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 중 하나였던 ‘전 국민 1인당 25만 원 지급’의 실현 단계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지원금, 1차·2차로 나눠 지급 예정
정부는 6월 19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민생회복지원금을 포함시키며, 이를 두 차례에 나눠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 | 15만원 | 10만원 | 25만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0만원 |
소득 상위 10% | 지급 제외 가능성 or 감액 (10~15만원?) | 미정 | 미정 |
📌 2차 지급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선별해 이뤄질 예정이며, 소득 상위 10%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실현 본격화?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모든 국민에게 25만 원씩 지급해 소비를 촉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그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구체화되고 있는 셈입니다. 지난 9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2차 회의에서도 이 대통령은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하라"며 차등 지원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왜 차등 지급일까? 소득 격차 통계가 배경
정부가 전 국민 지급과 차등 지원을 병행하는 ‘절충안’을 선택한 배경에는 소득 격차 문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 소득 하위 20% 가구(1분위)의 1분기 월평균 소득은 전년 대비 1.5% 감소
🔺 반면, 소득 상위 20% 가구(5분위)의 소득은 5.6% 증가
이러한 소득 양극화를 감안해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지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입니다.
여당 vs 정부… ‘보편 지급’ vs ‘선별 지원’
그러나 정치권의 논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 더불어민주당: 전통적으로 보편지급(전 국민 동일 금액 지급)을 주장해왔으며, 여전히 “소득과 관계없이 1인당 25만~35만 원 지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 기획재정부(기재부): 재정 건전성 등을 이유로 선별 지원에 방점을 찍고 있으며, 고소득층을 제외하거나 감액하자는 입장입니다.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 “보편 지원이 당의 입장이다. 정부 입장이 정해지면 당정 협의를 거쳐 결정될 것.”
‘지역화폐 형태 소비쿠폰’으로 지급될 수도!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나 소비쿠폰 형태로 지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소비 진작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결정입니다. 지역화폐 쿠폰은 사용처가 한정돼 있어 소비가 지역 상권에 집중되며, 실제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급 시기는?
2차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하반기 중 최대한 빠르게 지급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다만, 구체적인 지급 시기와 방식은 대통령실, 민주당, 기재부의 당정협의 결과에 따라 최종 확정됩니다.
정리
✅ 전 국민 기본 15만 원 지급 유력
✅ 취약계층엔 최대 50만 원 지급 가능성
✅ 1차+2차로 나눠 차등 지급, 건강보험료 기준
✅ 고소득층은 감액 또는 제외 검토 중
✅ 소비쿠폰 형태로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 지급 시기는 2차 추경 국회 통과 후 신속 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