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고 사전투표율 뒤… 계속되는 ‘부정선거’ 의혹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며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했지만, 중복투표 의혹과 불법 감시 활동으로 큰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치 기록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전투표 둘째 날인 30일 오전 10시 기준, 전국 누적 투표율은 23.33%를 기록했다.
이는 동시간대 기준으로 2022년 대선(21.62%)보다 1.71%포인트, 2024년 총선(19.04%)보다 4.29%포인트 높은 역대 최고 수치다.
- 유권자 수: 4,439만여 명
- 투표 참여 인원: 1,035만여 명
- 지역별 최고 투표율: 전남(41.17%)
- 지역별 최저 투표율: 대구(16.2%)
하지만 이러한 기록적인 참여율의 이면에는 다시금 혼란과 불신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 “사전투표 두 번 했다” 의혹…경찰 수사 착수
지난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2동 사전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중복 투표를 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같은 사람이 두 번 투표했다”는 내용이 선거 관계자 단체 채팅방에 올라오면서 112에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 수서경찰서는 사건의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며, 공직선거법 위반일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 “중국인 잡겠다”…민간 감시단의 무분별한 행태
또한 같은 날, 일부 민간단체가 자발적으로 조직한 ‘부정선거 감시단’이 전국 투표소 앞에 배치돼 유권자들을 촬영하고,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의 한 투표소에서는 이미 투표를 마치고 나온 여성이 감시단에게 강제로 붙잡혀 신분증 제시를 요구받았다. 여성은 “중국인처럼 말한다는 이유로 붙잡혀 심장이 벌떡거릴 정도로 놀랐다”고 토로했다.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 감시단원들에게 퇴거를 요청했고, 일부는 자신의 행동을 사과했지만 일부는 경찰이 떠나자 다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적이고 계획된 움직임
<오마이뉴스>의 잠입 취재에 따르면, 이 감시단은 단순한 자발적 참여가 아닌 사전 계획된 조직 활동이었다.
- 운영 단체: 자유대학, YEFF (Youth Election Fraud Fighters)
- 모집 방식: 구글폼 통한 신청 → 지역별 채팅방 배치
- 활동 방식: 계수기 앱으로 유권자 수 계산, 출입구 촬영, ‘중국인처럼 보이는 사람’ 추적
- 매뉴얼 제공: “말투로 중국인 여부 판단”, “자유의 꽃 노래 틀기” 등
이들은 특히 "중국인들이 대선에 불법 참여한다"는 이야기를 근거로 감시 활동을 지속하고 있었다.
감시단 활동의 배경에는 일부 정치인의 ‘사전투표 조작설’ 조장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사전투표제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부정선거 주장에 힘을 실어왔다.
선거 감시의 명목으로 시민의 자유와 안전을 침해하는 일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전문가들은 “합법적인 감시가 아닌, 신분증 요구나 신체 접촉은 명백한 불법행위”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측 반응은 “음모론일 뿐”
한편 민주당 측은 “이미 대법원과 선관위 조사에서 문제 없음이 입증됐다”며 김 전 지사의 주장을 “정치적 프레임 씌우기”로 일축했다. 하지만 김 전 지사는 “법원이 진실을 외면했다고 해서 진실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고 맞받아쳤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 선관위 인사 구성에도 문제를 제기하며 “정권 친화적인 기관으로 선관위가 변질되었다”며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 정리
✅ 사전투표율 | 역대 최고치, 유권자 관심 증가 |
⚠️ 중복투표 의혹 | 경찰 수사 중, 경위 파악 중 |
🚨 감시단 논란 | 조직적 활동, 불법적 신분 확인 요구 |
⛔ 법적 문제 | 공직선거법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 |
사전투표는 유권자의 참여 확대와 편의를 위한 제도다. 그러나 사전투표에 대한 의심과 의혹은 민주주의의 신뢰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빠른 조사로 철저히 검증하고, 해소해 투표소 질서를 지키고, 선관위의 공정한 절차를 존중하는 것이 그것이 진정한 민주 시민의 자세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