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고의적 방화', 용의자 현장에서 사망

by 매일이새로운소식 2025. 4. 21.

🔥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고의적 방화', 용의자 현장에서 사망

 

– 농약 살포기 이용한 계획 범행? 용의자 현장에서 사망 확인

 

📍 사건 발생: 2025년 4월 21일(월) 오전 8시 17분
📍 장소: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21층 규모 아파트
📍 피해자: 1명 사망 11명 부상

 


 

 

🚨 아침 출근길 대형 화재…“펑!” 소리와 함께 번진 불길

 

2025년 4월 21일 오전 8시 17분,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한 한 21층짜리 아파트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주민들의 신고에 따르면 “검은 연기와 함께 ‘펑’ 소리가 났다”는 제보가 이어졌으며, 유리창이 파손되어 놀이터까지 날아가는 폭발음이 들렸다는 증언도 있었습니다. 화재는 아파트 4층 401호와 404호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주민들이 놀라 대피하는 모습이 CCTV를 통해 포착되었습니다.

 

 

 

🧑‍🚒 화재 진압까지 약 1시간 40분…대응 1단계 신속 발령

화재 신고를 접수한 관악소방서는 오전 8시 30분 즉시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소방차 45대와 소방인력 153명을 현장에 투입했습니다. 이후 오전 9시 54분께 완전 진화에 성공했지만, 이미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후였습니다.

 

 

📌 피해 현황 (2025.04.21 오전 10시 기준)

  • 🟥 사망자: 1명 (60대 남성 방화 용의자)
  • 🟧 중상자: 2명 (전신 화상 및 추락)
  • 🟨 경상자: 9명 (연기 흡입 등)
  • 🧑‍🚒 투입된 인원: 153명
  • 🚒 투입된 장비: 소방차 45대

 

 

반응형

 

 

🔍 방화로 추정…용의자 현장에서 사망 확인

 

경찰은 이번 화재가 고의적 방화에 의한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이번 화재는 단순한 화재가 아닌, 농약 살포기(분사기)를 이용해 불을 일으킨 정황이 포착되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사망한 60대 남성 A씨는 방화 혐의의 유력 용의자로 확인되었으며, 그의 지문 감식 결과와 CCTV 분석을 통해 신원이 확정됐습니다.

 

 

 

 

🧾 유서와 현금 5만 원…“가족에게 미안하다”

A씨의 자택에서는 유서와 현금 5만 원이 발견되었습니다. 유서에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 “어머니 병원비에 보태달라”, “딸에게는 할머니를 잘 부탁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는 그가 이미 방화를 계획하고 극단적인 선택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 “화염방사기로 불을 질렀다”…주민 신고와 실제 사진 확인

 

화재 당시 경찰에는 “한 남성이 화염방사기를 쏘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되었고, SNS 등 온라인상에는 불꽃을 뿜는 용의자의 모습이 찍힌 사진이 빠르게 퍼졌습니다. 경찰은 이 사진이 실제 방화 장면이 맞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용의자의 오토바이에서는 기름통도 발견되어, 농약 살포기 안에 인화성 액체를 넣고 분사한 뒤 불을 붙인 정황이 유력하게 조사되고 있습니다.

 

 

 

고령자 많은 임대 아파트…대피 어려워 피해 커져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는 임대주택 동으로, 대부분이 70~80대 어르신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일부 주민은 거동이 불편해 제때 대피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2명이 추락 중상을 입는 참변이 벌어졌습니다. 인근 주민은 “불길이 치솟고 있는데도 노인분들이 대피하지 않아 ‘도망가세요’라고 소리쳤다”며 안타까움을 전했습니다.

 

 


 

 

추가 방화 정황…1.4km  떨어진 곳에서도 화재 발생

화재 발생 15분 전, 아파트에서 약 1.4km 떨어진 빌라 앞 쓰레기 더미에서도 불이 난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이 또한 A씨의 소행으로 보인다는 증거가 확보되었습니다. 이는 계획적인 연쇄 방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수사 계속 중…정신 건강 및 동기 규명 집중

경찰은 A씨의 정신 상태, 생활 환경, 경제적 어려움 등을 바탕으로 방화 동기와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고립감, 가족과의 관계, 건강 문제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봉천동 아파트 화재 사건은 우리 사회의 안전 사각지대를 고스란히 드러냈습니다. 특히, 정신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관리 부족, 고령자 주거지역의 대피 체계 미흡, 사회적 고립 문제 등은 재발 방지를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