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완료 됐는데 택배 실종… 이제 배달음식까지 훔쳐간다?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A씨(34)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50만 원 상당의 고급 의류를 주문했는데, ‘배송완료’ 알림을 받고 퇴근 후 설레는 마음으로 집 앞에 나가 보니 택배 상자가 sp없이 사라져 있었던 것이다. 경찰에 신고했지만 범인을 특정하기 어려웠다. 주변 CCTV에 수상한 장면이 찍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A씨는 “모처럼 나를 위해 큰돈을 쓰며 선물 같은 옷을 샀는데 도난을 당했다니 너무 억울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 택배 물량 60억 개 시대, 늘어나는 도난 사고
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택배 등 화물운송서비스 관련 피해 구제 접수 건수는 1209건으로, 2022년 대비 무려 33.4% 늘었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집계에 따르면 국내 택배 물동량은 지난해 59억 5634만 개로, 올해는 60억 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배송이 일상화되면서 현관문 앞에 무방비로 놓인 택배 상자가 범죄의 표적이 되고 있다. 특히 복도식 구조의 오래된 아파트는 CCTV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더 취약하다.
서울 노원구의 한 아파트 경비원 B씨(67)는
“몇 년 전 택배 도난 사고가 잇따르자 복도 CCTV 설치를 논의했지만, 주민들이 사생활 침해를 우려해 무산됐다”고 말했다.
경비실·공동관리 공간도 안전지대 아냐
경비실에 맡겨진 택배조차 안전하지 않다. 법적으로 경비원이 택배를 관리할 의무는 없기 때문에 자리를 비운 사이 물건이 사라지거나, 형식적인 서명만 받고 물건을 챙겨가는 사례도 있다. 택배사가 책임을 지도록 하기도 쉽지 않다. 대부분의 택배사는 배송 완료 후 사진 인증이나 알림 메시지 전송으로 책임을 다했다고 주장한다. 결국 소비자가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는 경우가 많다.
피해 규모도 커져…명품까지 노린다
과거 택배 절도는 생활용품이나 저가 상품 위주였지만,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고가의 명품을 주문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금액이 점점 커지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C씨(37)는 최근 명품 목걸이를 주문하면서 아예 배송지를 직장 주소로 바꿨다. 대구에 거주하는 또 다른 소비자는 “택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캠을 설치했다”며 “비싼 물건을 문 앞에 둘 때도 한결 안심된다”고 말했다.
🍔 심지어 이런 일도… ‘인증샷만 찍고’ 음식 훔친 배달원
택배 절도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다. 부산에서는 배달원이 고객에게 전달해야 할 음료를 ‘배달 완료’ 인증샷만 찍고 다시 가져간 사건까지 벌어졌다. 부산 수영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새벽, 한 배달 기사 A씨는 공동주택에 음식을 배달하며 현관문 앞에 잠시 내려놓은 뒤 사진을 찍고, 곧바로 이를 다시 챙겨 사라졌다. 문제는 해당 장면이 방범카메라에 그대로 찍혔다는 점이다. 피해 소비자 B씨는 이 영상을 자신의 SNS에 올렸고, 조회 수는 단숨에 650만 회를 돌파했다.
네티즌들은 “너무 당당하게 가져가는 걸 보니 처음이 아닌 것 같다”, “복도 카메라가 있어서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비슷한 피해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나도 배달 완료 알림을 확인하고 나갔는데 음식이 사라져 있었다”며 분통을 터뜨린 이들도 있었다.
A씨는 “오배송인 줄 알고 다시 가져갔는데, 가는 도중 주문이 취소돼 폐기했다”라고 해명했지만, 피해자는 “배송 완료 알림이 뜬 후 한참 지나 취소됐다”며 거짓말이라고 맞섰다. 결국 경찰은 절도 혐의로 정식 수사에 착수했다.
예방책은? 전문가 조언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온라인 쇼핑의 일상화로 물량이 늘어나면서 도난 사고도 함께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고가 물품은 직접 수령하거나, 개인용 CCTV·도어 캠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조언했다. 또한 일부 지자체에서는 주민들을 위해 공공 무인택배함을 운영하고 있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직장 주소를 배송지로 지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정리: 내 택배와 음식,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택배 도난과 배달 절도는 남의 일이 아닌 일상 속 위험이 됐다.
- 택배: CCTV 설치, 도어 캠, 무인택배함 활용
- 배달 음식: 수령 즉시 확인, 공동현관 보안 강화
- 고가 물품: 직접 수령 원칙, 안전한 장소 지정
“배송완료”라는 알림이 더는 안심의 신호가 아니다. 택배도, 배달 음식도 끝까지 내가 직접 확인할 때까지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