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베이 상위 1%가 300억 벌었다”… 한국시리즈 암표 논란 폭발

티켓 재판매 플랫폼 ‘티켓베이’ 영업적 거래 방치 논란 , 2025 국감서 정면 충돌
프로야구 한국시리즈가 연일 매진 행렬을 이어가며 흥행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암표 거래로 인한 일반 관람객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중심에는 대표적인 온라인 티켓 재판매 플랫폼 ‘티켓베이’가 자리하고 있다. 지난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티켓베이를 운영하는 ㈜팀플러스의 권범순 이사가 증인으로 출석해, 온라인 암표 거래 문제와 플랫폼의 관리 책임 여부에 대한 집중 질의를 받았다.
“야구 티켓 1만장 예매로 5억7천만원 챙겨”…매크로 범죄 적발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은 이날 감사에서 대전경찰청이 적발한 매크로 예매 범죄 영상을 공개했다. 조 의원은 “한 피의자가 4개월간 매크로를 이용해 프로야구 티켓 1만 장을 예매하고 5억7천만원의 부당이익을 얻었다”며 “이런 명백한 범죄임에도 티켓베이는 ‘개인 간 거래’라며 책임을 회피해왔다”고 비판했다.
상위 1% 판매자 441명, 연평균 6,700만원 수익
조 의원이 공개한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티켓베이 거래 건수 기준 상위 1% 판매자(441명)는 연간 총 12만 건을 거래하며 전체 거래의 41%를 차지했다. 거래 금액은 298억 원에 달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6,700만 원의 수익을 거둔 셈이다. 조 의원은 “이 정도면 상습적·영업적 거래로 봐야 한다”며 “티켓베이가 거래 금액과 빈도를 모두 기록하고 있음에도 부정판매를 수년간 방치했다”고 질타했다.
⚠️ “비싸게 팔수록 플랫폼 수익도 커진다”
티켓베이는 거래 금액의 10%를 수수료로 가져가는 구조다. 즉, 암표가 정가보다 비쌀수록 플랫폼의 수익도 함께 늘어난다. 조 의원은 “이런 구조에서는 암표 거래가 늘수록 플랫폼이 이익을 얻는다”며 “이익의 상당 부분이 범죄수익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또한 “티켓베이는 단순한 개인 간 양도 플랫폼이 아니라 투기 조장 플랫폼으로 변질됐다”며 제도적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KBO·한화이글스 “팬 권리 침해 심각”…강력 처벌 촉구
이날 국감에서는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한화이글스가 보낸 공식 공문도 공개됐다. 양 기관 모두 “온라인 암표 거래가 일반 팬들의 관람권을 침해하고 있으며, 정가로 예매한 팬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정부의 강력한 처벌 규정 마련을 요청했다.
티켓베이 “문제 인식…개선 노력하겠다”
증인으로 출석한 팀플러스 권범순 이사는 “문제 제기된 부분에 충분히 공감한다”며 “관계 부처와 협의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조 의원은 “티켓베이와 국세청만이 상습 거래자 정보를 가지고 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나 경찰에 공유되지 않고 있다”며 문제를 지적했다. 또 “상위 1% 거래자 400여 명은 사실상 영업적 암표상으로 볼 수 있다”며 “국세청이 자료를 적극 공유해 경찰이 인지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암표상은 웃고, 팬은 울고”…제도 개선 시급
조승래 의원은 “암표상의 티켓 매점매석 때문에 팬들이 절망과 분노에 빠져 있다”며 “경기의 흥행 수익이 암표상과 플랫폼으로 흘러가는 왜곡된 구조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한국시리즈 티켓이 최고 999만 원까지 치솟으며 사회적 공분을 샀다. 일부 암표상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티켓을 싹쓸이한 뒤 웃돈을 붙여 재판매하며 수억 원의 이익을 취하고 있다.
“국세청·경찰 협력 없이는 불법 재판매 근절 어려워”
전문가들은 “현행법상 개인 간 거래는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상습적 거래를 잡아내려면 국세청과 경찰의 자료 공유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국세청은 거래 내역을 통해 수익을 파악할 수 있고, 경찰은 불법성을 수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만큼 두 기관의 공조가 이뤄져야 ‘암표상 카르텔’을 근절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회 “불법 재판매 처벌 강화법” 추진
한편, 국민의힘 정연욱 의원은 티켓 재판매를 단속하기 위한 ‘불법 암표 처벌 강화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정 의원은 “인기 경기 입장권을 선점해 웃돈을 붙여 파는 행위는 명백한 불법”이라며 “이 구조를 방치하면 팬들의 피해만 커진다”고 밝혔다.
팬을 위한 ‘공정 예매’ 시스템 절실
이번 국정감사는 단순히 티켓 한 장의 문제가 아니라, 공정 거래와 소비자 권리 보호의 문제로 이어졌다. 암표상과 재판매 플랫폼이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팬들이 정가로도 표를 구하지 못하는 현실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이제 정부와 국세청, 경찰, 그리고 플랫폼 기업이 협력해 투명하고 공정한 티켓 거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때다.